파이프라인

개요

Home파이프라인개요

ABL001

  • Pipeline
    ABL001
  • Program Target
    VEGF x DLL4
  • Disease Indication
    Solid Tumor
  • Development Stage
    Clinical Development
    (Phase 1a/1b)
Summary
세포/동물 시험 수준에서 관찰한 ABL001의 강한 항암 효능이 현재 진행 중인 임상 시험 (phase 1a/1b)에서 환자의 반응율로도 관찰되고 있어 ABL001은 보다 강한 신생혈관억제 활성을 가진 차세대 항암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ABL001 작용기전

신생혈관형성 억제의 작용 기전이 서로 다른 VEGF 와 DLL4 를 동시에 억제하여 VEGF 내성 극복 및 강한 항암 활성 기대

ABL001 작용기전
ABL001 작용기전

비임상시험에서의 ABL001 개념증명

VEGF 억제항체 및 DLL4 억제항체의 단독투여 대비 강한 항암 효능 증명

비임상시험에서의 ABL001 개념증명
비임상시험에서의 ABL001 개념증명

ABL001의 임상 결과

3명의 환자에서 확인된 부분관해 (partial response, PR) 반응을 관찰 (phase 1a/1b 시험)

ABL001의 임상 결과
좌우스크롤 ABL001의 임상 결과

논문

좌우스크롤
논문(과제, 저널, 발표년도, 발표제목, 링크정보, 발표자료)
과제 저널 발표년도 발표제목 링크정보 발표자료
ABL001 mAbs 2016 Simultaneous blockade of VEGF and Dll4 by HD105, a bispecific antibody, inhibits tumor progression and angiogenesis 링크정보 아이콘 PDF 아이콘
BMB Reports 2020 Synergistic antitumor activity of a DLL4/VEGF bispecific therapeutic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irinotecan in gastric cancer 링크정보 아이콘 PDF 아이콘
Int J Mol Sci 2020 ABL001, a bispecific antibody targeting VEGF and DLL4, with chemotherapy, synergistically inhibits tumor progression in xenograft models 링크정보 아이콘 PDF 아이콘

학회발표

좌우스크롤
논문(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ABL001 PEGS 2017 Preclinical development of an anti-cancer bispecific antibody targeting VEGF and DLL4, ABL001 PDF 아이콘
ASCO 2019 Phase 1a study results investigating the safety and preliminary efficacy of ABL001 (NOV1501), a bispecific antibody targeting VEGF and DLL4 in metastatic gastrointesinal (GI) cancer PDF 아이콘
PEPTALK 2020 Summary of phase 1a dose escalation clinical study data for dual angiogenic bispecific antibody targeting VEGF and DLL4 (ABL001/NOV1501/TR009) in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solid tumors PDF 아이콘

닫기

ABL105

  • Pipeline
    ABL105
  • Program Target
    HER2x4-1BB
  • Disease Indication
    Solid Tumor
  • Development Stage
    IND Submission
Summary
ABL105는 HER2와 4-1BB를 타겟하는 이중항체입니다. 종양항원인 HER2가 발현되지 않는 정상조직에서는 T 세포 활성을 유도하지 않는 반면, 종양미세환경에서는 암에서 발현되는 HER2 의존적으로 4-1BB 다량체 형성 및 T 세포 활성을 유도하여 강력하고 종양특이적인 항암 효과를 보입니다. 이 외에도 ABL105는 HER2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써 암의 성장을 억제하고, NK 세포를 활성화하여 보다 강한 항암 효과를 나타냅니다. ABL105는 동물실험에서 뛰어난 종양억제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면역기억반응을 통해 암세포에 대한 재발을 억제합니다.

ABL105 작용기전

ABL의 Grabody™-T 이중항체 플랫폼을 이용한 종양 특이적 T 세포 활성화

ABL105 작용기전
ABL105 작용기전

종양 특이적 4-1BB 활성화

ABL105는 HER2가 발현되는 종양세포에서만 4-1BB의 활성화를 유도함

종양 특이적 4-1BB 활성화
종양 특이적 4-1BB 활성화

강력한 항암 효과

ABL105는 종양성장을 억제하며 기억형성 T 세포를 유도하여 동일 종양의 재발을 억제함

강력한 항암 효과
좌우스크롤 강력한 항암 효과

학회발표

좌우스크롤
논문(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ABL105 ESMO A novel HER2/4-1BB bispecific antibody, YH32367 (ABL105) exerts significant anti-tumor effects through tumor-directed T cell activation PDF 아이콘

닫기

ABL111

  • Pipeline
    ABL111
  • Program Target
    Claudin18.2x4-1BB
  • Disease Indication
    Solid Tumor
  • Development Stage
    Clinical Development
    (Phase 1)
Summary
ABL111은 Claudin18.2라는 물질과 4-1BB를 타겟하는 이중항체입니다. 4-1BB 기반 치료제의 독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위암과 췌장암에 특이적으로 과발현되어 있는 Claudin18.2 의존적으로 4-1BB 활성이 일어나기에 T 세포의 활성이 4-1BB 기반 치료제의 독성을 최소화하는 상태에서 일어나도록 합니다. ABL111은 동물실험에서 Claudin18.2단독, 4-1BB단독, Claudin18.2와 4-1BB 병용보다 월등한 종양억제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항암효과를 보이는 동물들은 면역기억반응을 통해 동일 암세포에 대한 재발을 억제합니다.

구조 및 작용기전

구조 및 작용기전
좌우스크롤 구조 및 작용기전

Claudin18.2 의존적 4-1BB 활성화

Claudin18.2 의존적 4-1BB 활성화
Claudin18.2 의존적 4-1BB 활성화

강력한 항암작용과 면역기억반응

강력한 항암작용과 면역기억반응
좌우스크롤 강력한 항암작용과 면역기억반응

메모리 CD8+ T 세포와 soluble 4-1BB 증가

메모리 CD8+ T 세포와 soluble 4-1BB 증가
메모리 CD8+ T 세포와 soluble 4-1BB 증가

학회발표

좌우스크롤
논문(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ABL111 SITC TJ-CD4B (ABL111), a Claudin18.2-targeted 4-1BB tumor engager induces potent tumordependent immune response without dose-limiting toxicity in preclinical studies PDF 아이콘
AACR 2020 Claudin 18.2 x 4-1BB bispecific antibody induced potent tumor inhibition through tumor-specific 4-1BB activation PDF 아이콘

닫기

ABL301

  • Pipeline
    ABL301
  • Program Target
    SNCA x IGF1R
  • Disease Indication
    Parkinson’s Disease
  • Development Stage
    IND enabling study
Summary
응집체 형태의 α-synnuclein의 뇌조직 내 전파 및 축적은 파킨슨 병 및 다발성 위축증의 주요한 병인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ABL301은 정상 작용을 하는 단일체에 결합하지 않으며, 응집체 형태에 주로 결합합니다. 치료 항체는 뇌혈관장벽으로 인해 보통 뇌 안으로 거의 전달되지 않으며, 이는 중추신경계 약물 개발의 커다란 장애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에 ABL301은 치료항체를 뇌 안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분자셔틀" 항체와의 이중항체 형태로 개발되어 높은 뇌조직 내로의 통과능 및 α-synnuclein 응집체에 대한 선택적 결합이라는 2가지 차별적 작용기전을 통해 기존의 항체치료제 대비 향상된 치료 효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Figure from biopharmadeal makers (2017)
좌우스크롤 Figure from biopharmadeal makers (2017)

닫기

ABL501

  • Pipeline
    ABL501
  • Program Target
    PD-L1 x LAG-3
  • Disease Indication
    Solid Tumor
  • Development Stage
    Clinical Development
    (Phase 1)
Summary
ABL501은 기존의 PD-(L)1 면역치료제의 단점인 낮은 반응률을 높이고 내성을 보이는 환자도 치료하기위해 두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면역관문단백질인 PD-L1과 LAG-3를 타겟하는 이중항체입니다. ABL501은 LAG-3 단독, PD-L1 단독, LAG-3와 PD-L1 병용보다 뛰어난 효능을 보여 주고 있으며 경쟁사 물질과 대조하여도 뛰어난 효능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작용기전

LAG-3 및 PD-L1을 타깃으로 하는 이중항체. LAG3-MHCII 및 PD-1-PD-L1의 결합을 차단함으로써 T cell이 종양에 의해 비활성화 되는 것을 막아줌

작용기전
좌우스크롤 작용기전

LAG-3 및 PD-L1 단일항체 병용 대비 우수한 T cell 활성능

PBMC를 이용한 IL-2 발현 및 PD-1/LAG3 이중차단 리포터 실험에서 단독 및 병용대비 우수한 T cell 활성능력을 보여줌

LAG-3 및 PD-L1 단일항체 병용 대비 우수한 T cell 활성능
LAG-3 및 PD-L1 단일항체 병용 대비 우수한 T cell 활성능

Atezolizumab 대비 우월한 종양살상효과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종양세포와 환자의 말초혈액 오가노이드에서 Atezolizumab 대비 우수한 종양 살상효과를 보여줌

Atezolizumab 대비 우월한 종양살상효과
Atezolizumab 대비 우월한 종양살상효과

강력한 종양성장 억제효과

마우스 효능시험에서 용량의존적으로 종양 성장을 저해함

강력한 종양성장 억제효과
강력한 종양성장 억제효과

임상1상

ABL501 단독에 대한 용량증량 시험이 진행 중이며 본 임상시험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의 재원으로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에 의한 연구임 (HN21C0979000021)

학회발표

좌우스크롤
학회발표(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ABL501 AACR ABL501 (PD-L1xLAG-3), a bispecific antibody promotes enhanced human T cell activation through targeting simultaneously two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LAG-3 and PD-L1 PDF 아이콘

닫기

ABL503

  • Pipeline
    ABL503
  • Program Target
    PD-L1 x 4-1BB
  • Disease Indication
    Solid Tumor
  • Development Stage
    Clinical Development
    (Phase 1)
Summary
ABL503은 기존의 PD-(L)1 면역치료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4-1BB 기반 치료제의 독성을 최소화하기위해 개발된 PD-L1과 4-1BB를 타겟하는 이중항체입니다. ABL503은 암세포가 발현하고 있는 PD-L1과 암세포 주변 면역세포에 발현되어 있는 4-1BB에 동시에 결합해야만 면역세포의 4-1BB활성이 일어납니다. ABL503은 동물실험에서 PD-L1단독, 4-1BB단독, PD-L1과 4-1BB 병용보다 월등한 종양억제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항암효과를 보이는 동물들은 면역기억반응을 통해 동일 암세포에 대한 재발을 억제합니다.

구조 및 작용기전

구조 및 작용기전
좌우스크롤 구조 및 작용기전

PD-L1 의존적 4-1BB 활성화

PD-L1 의존적 4-1BB 활성화
PD-L1 의존적 4-1BB 활성화

강력한 항암작용과 면역기억반응

강력한 항암작용과 면역기억반응
강력한 항암작용과 면역기억반응

항암작용과 함께 관찰되는 PD 변화

항암작용과 함께 관찰되는 PD 변화
항암작용과 함께 관찰되는 PD 변화

Atezolizumab 대비 뛰어난 효능

Atezolizumab 대비 뛰어난 효능
Atezolizumab 대비 뛰어난 효능

논문

좌우스크롤
논문(과제, 저널, 발표년도, 발표제목, 링크정보, 발표자료)
과제 저널 발표년도 발표제목 링크정보 발표자료
ABL503 JITC 2021 Novel anti-4-1BB×PD-L1 bispecific antibody augments anti-tumor immunity through tumor-directed T-cell activation and checkpoint blockade 링크정보 아이콘 PDF 아이콘

학회발표

좌우스크롤
논문(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ABL503 SITC ABL503 (TJ-L14B), PD-L1×4-1BB bispecific antibody, induces superior anti-tumor activity by PD-L1-dependent 4-1BB activation with the increase of 4-1BB+CD8 + T cells in tumor microenvironment PDF 아이콘
PEGS 2019 The PD-L1 x 4-1BB Bispecific Antibody ABL503 Shows Potent Anti-Tumor Effect through Tumor-Directed T Cell Activation PDF 아이콘

닫기

ABL101

  • Pipeline
    ABL101
  • Program Target
    BCMAx4-1BB
  • Disease Indication
    Hematologic Cancer
  • Development Stage
    IND enabling study
Summary
ABL101은 T 세포 관여 이중항체로, BCMA와 4-1BB를 동시에 표적합니다. ABL101은 BCMA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4-1BB 다량체 형성 및 T세포 활성을 유도하며, 암 세포가 없는 일반 조직에서는 활성화되지 않아 간 독성 부작용 확률이 적습니다. 동물실험에서 ABL101은 면역기억반응을 통해 동종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항암 효과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조 및 작용기전

구조 및 작용기전
구조 및 작용기전

BCMA 의존적 4-1BB 활성화

ABL101은 BCMA가 발현되는 종양미세환경에서만 4-1BB 활성화를 유도

BCMA 의존적 4-1BB 활성화
BCMA 의존적 4-1BB 활성화

닫기

ABL103

  • Pipeline
    ABL103
  • Program Target
    B7-H4x4-1BB
  • Disease Indication
    Solid Cancer
  • Development Stage
    IND enabling study
Summary
ABL103은 종양 항원인 B7-H4와 4-1BB를 타겟하는 T 세포 관여 이중항체입니다. ABL103은 B7-H4가 발현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4-1BB 다량체 형성 및 T세포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면역세포가 암세포만을 선별적으로 공격하고, 정상세포는 공격하지 않도록 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물실험 결과, ABL103은 면역기억반응을 통해 동일 종양 세포의 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고, 장기간 항암 효과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조 및 작용기전

구조 및 작용기전
구조 및 작용기전

B7-H4 의존적 4-1BB 활성화

ABL103은 B7-H4가 발현되는 종양미세환경에서만 Urelumab대비 강력한 4-1BB 활성화를 유도

B7-H4 의존적 4-1BB 활성화
B7-H4 의존적 4-1BB 활성화

강력한 항암작용과 면역기억반응

ABL103은 동물실험에서 종양 세포의 완전 사멸과 동종 암 세포의 재발을 억제

강력한 항암작용과 면역기억반응
좌우스크롤 강력한 항암작용과 면역기억반응

학회발표

좌우스크롤
논문(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과제 학회 발표제목 발표자료
ABL103 AACR 2022 A novel T-cell engaging bispecific antibody, exhibits potent in vitro and vivoantitumor activity and low toxicity via B7-H4 dependent 4-1BB activation in tumor microenvironment PDF 아이콘
PEGS Europe A novel T-cell engaging bispecific antibody, ABL103, shows potent anti-tumor effect via B7-H4 mediated 4-1BB activation in TME PDF 아이콘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