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Investors & Media보도자료
에이비엘바이오 파트너사 컴퍼스, ABL001 논문 발표
- 진행성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 2/3상 COMPANION-002의 임상 설계 및 연구 방법론 등 소개- 이전 임상 2상서 ORR 37.5% 확인… 담도암 환자의 미충족 수요 높아 최근 FDA로부터 패스트트랙 대상으로 지정 받아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은 자사의 파트너사 컴퍼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가 국제 학술지 퓨처 온콜로지(Future Oncology)에 ABL001(CTX-009)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논문에는 진행성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 2/3상 COMPANION-002의 목표와 임상 설계, 1차 평가지표 등 연구 방법론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COMPANION-002는 이전에 한 가지 전신 화학 요법을 받은 경험이 있는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ㆍ전이성 또는 재발성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ABL001 및 파클리탁셀(Paclitaxel) 병용요법과 파클리탁셀 단독요법을 비교하기 위한 임상 2/3상이다. ABL001은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 및 DLL4(Delta-Like Ligand 4) 표적 이중항체로, 암 조직 내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해 암 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 글로벌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컴퍼스 테라퓨틱스는 한국 권리를 보유한 한독이 국내에서 진행한 담도암 임상 2상(HDB001A)을 기반으로 미국에서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 2/3상을 진행하고 있다. 또, 담도암 외에도 진행성 대장암을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컴퍼스 테라퓨틱스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COMPANION-002는 ABL001과 파클리탁셀 병용요법을 파클리탁셀 단독요법과 비교해 2차 치료제로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도록 설계됐다. 임상 참여자 수는 약 150명으로, 1차 평가지표(Primary Endpoint)는 객관적 반응률(Overall Response Rate, ORR)이다. 2차 평가지표(Secondary Endpoint)에는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반응 기간(Duration of Response), 전체 생존율(Overall Survival), 질병 조절률(Disease Control Rate), 안전성 및 삶의 질 등이 포함된다. ABL001 및 파클리탁셀 병용요법은 이전에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전신요법 치료를 받은 진행성 담도암 환자에서 37.5%(9/24)의 ORR이 확인됐다. ABL001 및 파클리탁셀 병용요법으로 2차 치료를 받은 환자 11명에서는 ORR 63.6%(7/11)가, 3차 치료를 받은 환자 13명에서는 ORR 15%(2/13)가 나타났다. 반응 기간의 중앙값은 6.9개월이었으며, 무진행 생존율 중앙값은 9.4개월, 1년 생존율은 53%였다. 이는 1차 치료 후 2차 치료제로 사용되는 화학치료제 폴폭스(FOLFOX)의 ORR이 5%, 무진행 생존율 중앙값이 4개월임을 고려할 때 고무적인 결과로 평가된다. 담도암은 담관, 담낭 또는 담관과 췌장이 소장에 연결되는 바터팽대부의 세포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미국에서만 매년 약 23,000건의 담도암 환자가 발생하며, 이들 환자 중 단 10%만이 초기에 발견해 수술적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 외 대다수의 환자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도암 환자로, 이들을 위한 치료 옵션이 거의 없어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크다. ABL001 및 파클리탁셀 병용요법은 지난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이전 치료 경험이 있는 전이성 또는 국소 진행성 담도암 환자 치료를 위한 패스트트랙(Fast Track) 지정을 받았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파트너사 컴퍼스 테라퓨틱스가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고, 패스트트랙 지정을 받는 등 담도암 치료제로 ABL001 및 파클리탁셀 병용요법을 허가 받기 위해 활발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ABL001 병용요법은 임상에서 좋은 데이터를 보여주고 있으며, 안전성도 관리 가능한 수준이다. 파트너사가 ABL001 임상 개발을 가속화해 담도암 환자들의 더 나은 삶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다.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에 있다.
2024-06-17ablbio
에이비엘바이오 파트너사 아이맵, 위암 및 식도암 환자 대상 기바스...
- 위암 및 식도암 환자 대상 Claudin18.2 x 4-1BB 이중항체 기바스토믹과 니볼루맙 및 화학치료제 병용요법의 평가 위해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과 임상 협력 개시- 2023년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발표된 기바스토믹 단독요법의 안전성 및 효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협력 관계 구축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자사의 파트너사 아이맵(I-Mab)이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Bristol Myers Squibb)과 임상시험을 위한 협력 및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아이맵은 양사가 공동 개발 중인 Claudin18.2 및 4-1BB 이중항체 기바스토믹(givastomig)과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의 면역관문 억제제 니볼루맙(nivolumab), 그리고 화학치료제(FOLFOX 또는 CAPOX)에 대한 3중 병용요법을 Claudin18.2 양성의 진행성 위암 및 식도암 환자의 잠재적인 1차 치료제로 평가해 나갈 예정이다. 계약에 따라 해당 임상시험은 아이맵이 주도하는 다국적 임상시험으로 진행되며,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은 니볼루맙을 공급한다. 니볼루맙은 암 세포에 있는 PD-L1 단백질이 PD-1과 결합하는 것을 차단해 T 세포의 기능을 강화하고, 항종양 반응을 개선하도록 설계된 면역관문 억제제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양사는 3중 병용요법에서 기바스토믹의 중요한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임상 개발 단계에 들어감과 동시에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과 임상 협력 계약을 체결하게 돼 기쁘다”며, “해당 임상은 ESMO 2023에서 발표된 기바스토믹 단독요법의 효능과 안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양사는 니볼루맙과 화학치료제 그리고 기바스토믹을 병용하면 특정 종양에서 강력한 항종양 반응을 촉진할 것이라 낙관하고 있으며, 임상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다. ABL001의 경우,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개발사의 빠른 신약 개발을 지원하는 패스트 트랙(Fast Track) 지정을 받기도 했다.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에 있다. 기바스토믹은 ABL111/TJ-CD4B 또는 TJ033721로도 알려져 있는 Claudin18.2(CLDN18.2)과 4-1BB를 표적 이중항체로, 위암 및 췌장암을 포함해 CLDN18.2를 발현하는 종양 세포에 결합해 4-1BB로 종양 내 T 세포를 활성화한다. 기바스토믹은 CLDN18.2 항체와 4-1BB 항체의 시너지 효과로 강력한 종양 결합성과 항종양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며, 4-1BB 단일항체에서 흔히 나타나는 간 독성과 전신 면역독성을 최소화한다. 기바스토믹은 에이비엘바이오와 아이맵의 협력을 통해 개발됐으며, 현재 미국과 중국에서 임상 1상이 진행되고 있다. 기바스토믹은 2022년 3월 FDA로부터 위식도접합부암을 포함한 위암 치료제로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2024-06-07ablbio
에이비엘바이오, ASCO 2024서 ABL503 임상 1상 중간 결과 발표… 완전관해 ...
- CR 및 PR 환자, 유효 용량인 3mg/kg과 5mg/kg 투여군에서 나타나- 안전성 측면에서도 스테로이드 치료 등으로 관리 가능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 2024에서 진행된 ABL503(TJ-L14B, ragistomig)의 임상 1상 중간 데이터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4일 밝혔다. ABL503 포스터는 6월 1일(현지시간) ASCO의 ‘Developmental Therapeutics Immunotherapy’ 세션에서 공개됐다. ABL503은 글로벌 파트너사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와 공동 개발 중인 이중항체로, 면역 관문(Immune Checkpoint) 중 하나인 PD-L1과 면역 T 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4-1BB를 동시에 표적한다. ABL503에는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4-1BB 기반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Grabody-T)’가 적용됐다.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고형암 환자 대상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순차적으로 투여 용량을 증가시키는 용량 증량(Dose Escalation) 파트는 미국에서, 용량 증량 파트를 통해 안전성이 확인된 특정 용량의 예비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량 확장(Dose Expansion) 및 선정된 특정 암 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종양 확장(Tumor Expansion) 파트는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번 중간 데이터 분석 대상이 된 환자들은 용량 증량 파트 참여자 34명과 용량 확장 파트에 참여한 19명으로, 총 53명이다. 이들 가운데 56.6%는 기존 PD-(L)1 억제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치료를 받은 후에도 암이 재발한 환자들이었으며, 환자들은 대부분 임상 참여 전 항암 치료 경험이 다수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53명 중 효과 평가가 가능한 44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ABL503의 임상 1상에서 1건의 완전관해(Complete Response, CR) 및 6건의 부분관해(Partial Response, PR)가 확인됐다. 이들 중 5명은 기존에 PD-(L)1 억제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거나 치료 후에도 암이 재발한 환자들이었다. 특히, CR의 경우, 사전 치료를 7회 이상 받고, PD-(L)1 억제제 치료 후 재발을 경험해 면역항암제 반응률이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난치 난소암 환자에서 나온 결과기에 더욱 의미가 있다. 7명의 CR 및 PR 환자들은 모두 유효 용량인 3mg/kg과 5mg/kg을 투여 받았으며, 이에 따라 유효 용량에서 확인된 ABL503의 객관적 반응률(Overall Response Rate, ORR)은 26.9%(7/26), 임상적 이점 비율(Clinical Benefit Rate, CBR)은 69.2%(18/26)로 나타났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관리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명의 환자에서 최소 1건 이상의 치료 관련 부작용(Treatment-related Adverse Event, TRAE)이 보고됐다. 가장 흔한 TRAE는 알라닌 아미노기전달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및 아스파트산 아미노기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수치 증가였으며, Grade 3 이상의 ALTㆍAST 수치 상승을 보인 환자들은 스테로이드 치료 등으로 치료 가능했다. 또한, 5명의 용량 제한 독성(Dose-Limiting Toxicity) 환자들 역시 모두 회복되었거나 회복 중인 것으로 확인됐으며, 최대 내약 용량(Maximum Tolerated Dose)은 7mg/kg이였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250억 달러 매출의 글로벌 블록버스터 펨브롤리주맙을 비롯한 PD-(L)1 억제제는 다양한 암 종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 치료에 반응해 효과를 보이는 환자는 20~30% 정도에 불과하다. 이렇게 미충족 수요가 큰 상황 속에서 ABL503이 임상 1상임에도 PD-(L)1 억제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재발한 환자를 대상으로 CR과 PR이라는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ABL503으로 인한 AST 및 ALT 상승은 ABL503 뿐만 아니라 PD-(L)1을 표적하는 치료제들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회복이 가능하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중간 데이터와 현재 진행 중인 임상 1상에서 추가로 확인되는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향후 임상 전략을 지속 고민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다. ABL001의 경우,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개발사의 빠른 신약 개발을 지원하는 패스트트랙(Fast Track) 지정을 받기도 했다.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에 있다.
2024-06-04ablbio
에이비엘바이오, 바이오 USA서 다양한 파트너십 논의
- 면역항암 파이프라인의 임상 데이터 및 BBB 셔틀 플랫폼 관련 논의 진행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 바이오 USA)’에 참석한다고 29일 밝혔다. 바이오 USA는 전세계 제약ㆍ바이오 관계자들이 모여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는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로, 미국 샌디에이고(San Diego)에서 오는 6월 3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4일간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서 에이비엘바이오는 다양한 글로벌 제약ㆍ바이오 기업들과 만나 4-1BB 기반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Grabody-T)’가 적용된 면역항암 파이프라인의 임상 데이터를 공유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유럽종앙햑회(ESMO 2023)에서 ABL111(Givastomig)의 임상 1상 중간 데이터를 발표한 이후 올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4)에서도 ABL503(Ragistomig)와 ABL202(CS5001, LCB71)의 임상 1상 중간 결과가 공개되는 만큼,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미팅에서 심도 깊은 논의가 오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혈액뇌관문(Blood Brain Barrier, 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Grabody-B)’ 관련 협력 등에 대한 논의 역시 진행할 예정이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 로슈(Roche)가 BBB 셔틀을 부착한 트론티네맙(Trontinemab)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BBB 셔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트론티네맙은 로슈가 과거 임상 3상을 실패하며 개발을 중단한 아밀로이드 베타(Aβ) 단일항체 간테네루맙(Gantenerumab)에 BBB 셔틀을 접목한 것으로, 현재 알츠하이머 환자 대상 임상 1/2상을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에이비엘바이오는 차세대 이중항체 ADC(Antibody Drug Conjugate) 개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기회를 모색하는 한편, 글로벌 기업들의 경쟁력 있는 신약 개발 기술과 최신 트렌드를 파악해 나갈 계획이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그랩바디-T 플랫폼이 적용된 파이프라인들이 임상 단계에 진입하며 고무적인 임상 데이터를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우수한 안전성과 항암 효과를 발표한 ABL111에 이어 올해 ASCO에서는 ABL503의 강력한 항암 효과를 선보일 계획”이라며, “ABL202 임상 데이터 역시 ASCO에서 공개되고, ABL103 국내 임상 역시 순항하고 있어 이제는 글로벌 빅파마들과 비임상이 아닌 임상 데이터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예정된 미팅을 최선을 다해 진행하고,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 받는 신약 개발 기술을 파악해 에이비엘바이오의 미래를 위한 전략도 수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다. ABL001의 경우,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개발사의 빠른 신약 개발을 지원하는 패스트 트랙(Fast Track) 지정을 받기도 했다.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에 있다.
2024-05-29ablbio
에이비엘바이오 파트너사 시스톤, ASCO 2024서 ABL202 임상 결과 발표
- 고형암 및 림프종에서 임상 효능 입증한 최초의 ROR1 ADC, CS5001(ABL202)- 임상 1상 분석 결과, 호지킨 림프종에서 ORR 55.6%, DLBCL에서 ORR 50.0% 확인… 진행성 고형암 환자에서도 유망한 항암 효능 나타나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자사의 파트너사 시스톤 파마슈티컬스(CStone Pharmaceuticals)가 CS5001(ABL202, LCB71)의 진행성 고형암 및 림프종 환자 대상 임상 1a/1b상 데이터를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 2024에서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28일 밝혔다. 포스터 제목은 '진행성 고형암 및 림프종 환자 대상 ROR1 ADC CS5001에 대한 글로벌 다지역, 임상 1a/b상 연구(A phase 1a/b, multi-regional, first-in-human study of CS5001, a novel anti-ROR1 ADC, in patients with advanced solid tumors and lymphomas)’다. 초록에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CS5001은 임상 1a상 첫 8개 용량군(7~125μg/kg)에서 용량 제한 독성(Dose-Limiting Toxicity, DLT)이 관찰되지 않고, 최대 허용 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에도 도달하지 않으며, 우수한 안전성과 예상한 약동학적(PK) 특성을 보고했다. 또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 호지킨 림프종, 비소세포폐암(NSCLC), 췌장암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고형암 및 혈액암에서 약효가 관찰됐다. CS5001의 객관적 반응률(Overall Response Rate, ORR)은 호지킨 림프종에서 55.6%, DLBCL에서 50.0%로 확인됐으며, 이는 MSD가 개발 중인 ROR1 ADC MK-2140이 임상 1상에서 보여준 ORR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포스터에 명시된 데이터 마감일 기준, 용량군을 9단계(156μg/kg)까지 증량했음에도 여전히 DLT가 관찰되지 않았고, MTD에도 도달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약물 관련 이상반응은 1등급 또는 2등급으로, 사전 치료 경험이 많은 진행성 고형암 및 림프종 환자들에서도 우수한 안전성을 보였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에이비엘바이오와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ROR1 ADC가 임상에서 다양한 고영암 및 혈액암에서 고무적인 항암 효능을 보이고 있다”며, “호지킨 림프종에서 1명의 완전 관해와 4명의 부분 관해가 확인됐고, DLBCL 환자에서도 1명의 완전 관해와 2명의 부분 관해가 나타났다. 고형암 환자들 역시 다수의 부분 관해를 보고하고 있어 회사의 기대가 크다. 임상 1b상에서 용량 최적화 및 적응증 검토를 위한 용량 확장을 곧 시작하고, 2024년 말까지 확증 임상(pivotal trials)에 들어갈 예정이니 앞으로도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CS5001은 ROR1(Receptor tyrosine kinase-like Orphan Receptor 1)을 표적으로 하는 임상 단계의 ADC 후보물질이다.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ROR1 항체에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의 종양 특이적 절단 가능 링커와 PBD 전구약물을 적용해 개발됐다. 2020년 10월, 에이비엘바이오와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는 시스톤과 CS5001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으며, 계약에 따라 시스톤은 한국을 제외한 글로벌에서의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독점적 권리를 획득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다. ABL001의 경우,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개발사의 빠른 신약 개발을 지원하는 패스트트랙(Fast Track) 지정을 받기도 했다.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에 있다.
2024-05-28ablbio
에이비엘바이오, ASCO 2024서 ABL503 임상 1상 데이터 발표
- 그랩바디-T 플랫폼 적용 PD-L1 및 4-1BB 표적 이중항체 ABL503 단독요법의 고형암 환자 대상 임상 1상 중간 결과 포스터 통해 공개할 것- 6월 1일(현지시간) ASCO 2024 포스터 세션서 오전 9시 공개 예정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 2024에서 글로벌 파트너사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와 공동 개발한 면역항암제 ABL503(TJ-L14B, Ragistomig)의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이는 ABL503 임상 데이터의 첫번째 글로벌 학회 발표로, ASCO의 ‘Developmental Therapeutics Immunotherapy’ 포스터 세션에서 소개될 예정이다. ASCO는 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로, 매년 의료 관계자, 과학자, 다국적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 등이 다수 참석해 암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항암제 임상 데이터 등을 발표하고 있다. 오는 5월 31일부터 6월 4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행사에서 ABL503의 용량 증량(Dose Escalation) 파트와 용량 확장(Dose Expansion) 파트의 주요 데이터를 포스터로 발표한다. 포스터 제목은 ‘Phase 1 trial safety and efficacy of ragistomig, a bispecific antibody targeting PD-L1 and 4-1BB, in advanced solid tumors(PD-L1과 4-1BB를 표적하는 이중항체, 라기스토믹의 진행성 고형암 대상 임상 1상의 안전성 및 유효성)’로, 6월 1일 오전 9시부터 정오(현지시간)까지 3시간 동안 공개될 예정이다. ABL503은 PD-L1과 면역 T 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4-1BB를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다. 기존 PD-(L)1 치료제의 제한적인 반응률과 내성을 극복하고, 4-1BB 단일항체의 오프 타깃 부작용(Off-target Toxicity)을 제한하기 위해 개발됐다.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고형암 환자 대상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순차적으로 투여 용량을 증가시키는 용량 증량 파트는 미국에서, 용량 증량 파트를 통해 안전성이 확인된 특정 용량의 예비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량 확장 및 선정된 특정 암 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종양 확장(Tumor Expansion) 파트는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세계 최고 암 학회 중 하나인 ASCO에서 ABL503 임상 1상의 중간 결과를 공유하게 돼 기쁘다. 이번 포스터 발표를 통해 그랩바디-T가 적용된 파이프라인 시리즈의 두번째 임상 데이터를 전세계에 선보이게 됐다”며, “ABL503이 임상 1상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만큼 이번 ASCO를 기대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다. ABL001의 경우,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개발사의 빠른 신약 개발을 지원하는 패스트트랙(Fast Track) 지정을 받기도 했다.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에 있다.
2024-05-24ablbio
에이비엘바이오, ‘바이오 코리아 2024’ 전시 참가
- 서울 코엑스 3층 C홀 D11에서 부스 전시 통해 이중항체 파이프라인 소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바이오 코리아 2024(BIO Korea 2024 International Convention)’의 전시 프로그램에 참가해 자사의 이중항체 기술력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바이오 코리아는 바이오헬스 관련 기업들과 연구자 및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 컨벤션이다. 행사 기간 동안 컨퍼런스를 비롯해 전시, 비즈니스 포럼, 인베스트 페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올해 행사 주제는 ‘바이오 혁신 기술의 미래와 글로벌 협력’으로, 오는 5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코엑스 3층에 위치한 C홀 및 컨퍼런스 룸에서 개최된다. 에이비엘바이오의 부스 전시는 출입구 인근 D11에서 진행될 계획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부스 전시를 통해 이중항체를 기반으로 한 자사의 면역항암제 및 혈액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 셔틀 ‘그랩바디-B(Grabody-B)’ 등을 포스터로 소개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으로는 4-1BB 기반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Grabody-T)’가 적용된 ABL503, ABL111, ABL103, ABL105 등이 있으며, ROR1 표적 ADC ABL202와 현재 비임상 단계에서 개발 중인 이중항체 ADC의 컨셉 등에 대한 내용도 소개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바이오 코리아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바이오헬스 행사인 만큼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에이비엘바이오를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올해는 바이오 코리아를 포함해 ABL503, ABL202, ABL001 임상 결과 발표 등 다양한 이벤트가 예정돼 있다. 이번 행사도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열심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를 포함해 우수한 항체 기술을 기반으로 퇴행성뇌질환 및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으며,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에 있다.
2024-05-02ablbio
에이비엘바이오, 신규 이중항체 파이프라인 및 ABL105 포스터 발표 AACR ...
- ABL112 및 ABL407, 비임상 실험에서 확인된 강력한 항암 효과로 관심 받아- ABL105 역시 우수한 비임상 데이터 소개하며 발표 마무리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지난 4월 5일부터 10일(현지시간) 개최된 미국암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2024에서 신규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112 및 ABL407의 포스터 발표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1일 밝혔다. 파트너사 유한양행이 발표한 HER2 표적 이중항체 ABL105(YH32367) 포스터 역시 다수의 참가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번에 발표된 이중항체 3종은 모두 ‘그랩바디-T(Grabody-T)’ 플랫폼이 적용된 면역항암 파이프라인이다. 그랩바디-T는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4-1BB 기반 이중항체 플랫폼으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T 세포를 활성화해 4-1BB 단일항체 고유의 간 독성 부작용은 줄이고, 항암 효과는 높이도록 설계됐다. 그랩바디-T가 적용된 대표적인 파이프라인으로는 ABL503, ABL111, ABL105, ABL103 등이 있다. ABL112 및 ABL407은 기존 그랩바디-T 기반 이중항체들과 달리 종양 항원이 아닌 암 세포 주변에 밀집한 면역 세포 특이적 항원을 표적하고 있어 그랩바디-T의 적용 영역을 확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비임상 단계로, 이번 AACR에서 처음 공개됐다. ABL112는 T 세포의 면역관문 중 하나인 TIGIT(T cell Immunoreceptor with Ig and ITIM domains)과 T 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4-1BB를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다. 포스터에 따르면, ABL112는 종양 내 면역억제 조절 T 세포(Intra-tumoral Treg)의 특이적 고갈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ABL112와 PD-(L)1 치료제 병용요법의 경우, TIGIT 단일항체 또는 PD-(L)1 치료제 단독요법 대비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실험체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L407은 LILRB4(Leukocyte Immunoglobulin Like Receptor B4) 및 4-1BB를 동시에 표적함으로써 LILRB4의 신호 전달을 억제하고, 4-1BB에 의한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비임상 실험 결과, ABL407은 T 세포의 활성을 회복시키고, 종양 내 면역억제 조절 T 세포와 단핵구성 골수유래 면역억제세포(M-MDSC)의 감소를 유도해 종양 전이모델에서 탁월한 종양 억제 효과를 보였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에이비엘바이오가 소개한 ABL112와 ABL407은 물론, 파트너사인 유한양행이 발표한 ABL105와 PD-1 치료제 병용요법 등에 대한 포스터 역시 많은 관심과 질문을 받았다. 그랩바디-T 플랫폼이 글로벌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는 것”이라며, “올 상반기에는 ABL503이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하며, ABL105는 임상 1상 용량 증량 시험의 환자 모집을 마칠 예정이다. ABL105는 현재 진행 중인 한국 및 호주 임상 외 미국 임상까지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다. 이 외 ABL202와 ABL001 등도 임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ABL103의 임상 1상도 순항하고 있는 만큼, 향후 에이비엘바이오의 앞날에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를 포함해 우수한 항체 기술을 기반으로 퇴행성뇌질환 및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으며,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에 있다.
2024-04-11ablbio
에이비엘바이오, 삼성동 신규 사옥 리모델링 개시
- 연구 공간 및 설비 확충 등으로 향후 연구개발 역량 극대화할 것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신규 사옥을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사 계약을 완료했다고 5일 공시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에이비엘바이오는 일반 사무 목적으로 지어진 건물을 연구개발에 최적화된 장소로 탈바꿈 시키고, 2025년 상반기 내 본사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해 9월 삼성동 사옥을 취득했다. 경기도 판교 내 분산되어 있는 조직을 하나의 장소에 모으고, 부족한 설비 및 시설을 확충함으로써 연구개발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신규 사옥으로의 이전을 통해 임직원 간의 업무 협력 및 소통을 활성화하는 한편, 기존에 외부 업체 의존도가 높았던 공정개발 및 품질관리(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s(CMC)) 기능을 내재화해 공정개발 및 품질관리 효율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에 따라 수십억 원의 연구개발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 관계자는 “현재 삼성동 건물을 연구개발 공간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건물 전체를 리모델링하는 공사가 필요하다. 인력도 늘어나고, 연구 공간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인 만큼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사옥 마련이 필수적인 상황”이라며, “현재 판교에만 세 개의 사무실을 임차하고 있는데, 판교 임차료가 대폭 상승해 매우 큰 고정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이를 고려하면 새로운 사무실을 추가 임차하는 것보다 사옥을 마련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더 이득”이라고 말했다. 삼성동은 코엑스(COEX), 서울무역센터, 한국도심공항 등 주요 시설들과 여러 기업들이 위치한 서울의 중심지 중 하나다. 게다가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잠실 MICE 센터 등 대규모 개발 사업이 예정돼 있어 자산 가치가 지속 상승할 지역이기도 하다. 에이비엘바이오의 신규 사옥 역시 이러한 지리적 이점에 따라 향후 회사의 재무 안전성과 자산 규모 역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에이비엘바이오는 해당 건물을 수백억 원 이상 상승한 호가의 가격으로 매입하고 싶다는 제안을 다수 받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뛰어난 교통 편의성으로 보다 우수한 인재 확보가 수월해지고, 잦은 인구 이동에 따른 홍보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에이비엘바이오 관계자는 “신규 사옥과 관련된 비용 지출로 연구개발 비용이 축소되거나 활동이 줄어들 가능성은 없다. 바이오 기업의 본질은 연구개발이다. 내부적으로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자금 상황을 고려해 신중히 내린 결정”이라며, “이번 리모델링을 통해 글로벌 빅파마 수준의 연구개발 공간과 시설을 갖출 것을 약속 드린다. 그리고 올해 예정된 ABL503, ABL001, ABL202, ABL105 등의 파이프라인 임상 데이터 발표 역시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를 포함해 우수한 항체 기술을 기반으로 퇴행성뇌질환 및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으며,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에 있다.
2024-04-08ablbio